– 익산시와 함께 <익산문헌자료총서3> 발간 –

익산문헌자료총서3원광대학교 한문번역연구소(소장 이의강)가 조선 후기 고도 익산의 생생한 모습을 그려내는 금마일기와 유금마성기, 금마별가에 대한 익산시 학술용역을 수행해 ‘익산문헌자료총서3’을 발간했다.

금마일기는 조선후기 익산 군수를 지낸 정규혁이 재임 시 기록한 14개월 간의 일기이며, 유금마성기는 조선 선비 강후진이 1738년 가을에 기준성 등 익산 금마의 고적을 답사하고 남긴 기록이다.

또한, 금마별가는 석북 신광수의 시집으로 남태보 군수를 떠나보내며 애달파하는 익산 군민들의 마음을 대신하여 읊은 시 32수가 실려 있다.

이번에 번역된 금마일기는 1896년 3월 부임한 익산군수 정규혁이 군수로서 겪었던 다양한 업무 처리와 일상사 등을 이듬해 4월 말까지 기록한 것으로 특히 부임한 첫해의 일기는 수령으로서 해결해야 세금 징수, 아전 관리, 각종 의견 수렴 등 할 각종 현안 해결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수령을 도와서 군정을 처리하던 면임과 존동, 통수, 검독, 주비, 풍헌 등의 직책은 19세기 말 행정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큰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유금마성기는 태평산인 강후진이 1738년(영조 14년) 가을 익산군 금마 일대 답사 후 남긴 일지로 익산 금마를 마한의 시조 무강왕 기준이 세운 마한의 중심도읍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준성과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쌍릉 답사는 기준왕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여정이 담겨있다.

특히 유금마성기에는 “밭 가운데 칠층석탑이 있는데 병풍처럼 다듬은 돌을 포개어 쌓은 ‘동방 최고의 탑’으로 석탑 위로 올라가 보니 서너 명의 농부가 그 위에 누워있었다”고 미륵사지의 모습을 담고 있어 300여 년 전 고도 익산의 모습을 생생하게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1760년 당대 최고의 시인 석북 신광수가 지은 32수의 연작 한시 금마별가는 익산군수 남태보가 5년의 군수 임기를 마치고 떠날 때 익산 군민들이 눈물을 흘리며 붙잡으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군민들의 심정을 대신하여 시로 담아냈다.

별가 서문에는 ‘악부(樂府)에 전해지는 정신을 담고 있다’고 시를 지은 의도를 내비치고 있어 이 시가 단순히 군수의 칭송만이 아니라 당시의 현실비판과 애민의식, 우국충정 등의 정서를 잘 담고 있다.

한편, 이번 총서 발간은 2019년 금마지, 2020년 여산용안함열읍지에 이어 세 번째로 한문번역연구소는 지난 10월 그동안의 고문헌자료 번역사업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고문헌학술포럼을 개최했으며, 앞으로도 익산문헌자료 발굴과 번역서 발간 작업에 힘을 쏟는 한편, 지금까지의 성과를 익산역사문화가치 확산을 위한 스토리텔링 개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위로 스크롤

통합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