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Med 성과 확산 및 통합의료전공 다학제 실천 방안 논의 –
원광대학교 통합의료혁신센터는 지난 4일 교내 숭산기념관 2층 산학협력 제1세미나실에서 ‘제5회 원광 통합의료 글로컬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통합의료혁신센터가 주관하고, 전북 JABA대학원과 원광대 글로컬대학사업단, 글로벌인재교육본부가 공동 주최했으며, ‘K-Med 성과 확산과 통합의료전공의 다학제적 실천 방안’을 주제로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주제 강연에 강연석 국제교류처장은 통합의료 전공의 국제화를 위한 원광대 전략을 소개하며, 단순 교류를 넘는 실질적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 교수는 “중국, 베트남, 몽골, 이란, 태국, 남수단 등과 전문가 연수 및 유학생 유치 전략을 통해 100개 해외 거점 구축을 추진 중”이라며 “K-Culture와 결합한 의료교육, 원광대 고유 콘텐츠인 ‘WON-MIND’ 등 명상·마음치유 교육 프로그램을 향후 지속 가능한 국제 협력 교육모델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진 발표 세션에서는 통합의료혁신센터장 강형원(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통합의료 전공 교과과정안을, 전서재(디지털헬스케어학과) 교수가 정밀의료기기 전공안, 강훈종(디지털헬스케어학과) 교수가 디지털헬스케어학과 교과과정을 소개해 JABA 대학원 생명서비스융합계열 내 각 전공 간 교육 모델을 공유했다.
질의응답 및 토론 시간에는 다양한 전공 교수들이 참여해 현실적 과제와 전략적 제안을 나눴으며, 김재효(한의과대학) 교수는 “통합의료 전공이 진로 설계까지 포괄할 수 있어야 학생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된다”고 강조했으며, 송경(약학대학) 교수는 “보건의료 면허 소지자 위주의 모집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 전공자도 포용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외에도 ▲현장 기반 임상 실습 확대 ▲직역 간 팀 교육 모델 구축 ▲유학생 친화적 커리큘럼 구성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이번 포럼은 원광대가 추진 중인 통합의료학과 신설을 앞두고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실행 전략을 종합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으며, 참석자들은 단기성과에 그치지 않고 원광대만의 특색 있는 K-통합의료 모델을 구축해 국제 수준의 지속 가능한 교육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포럼을 주관한 강형원 센터장은 “이번 논의는 글로벌 보건의료 교육의 전략적 방향성을 정립하고, 통합의료학과 개설의 실질적 추진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