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 포함 5개국 연계, 신·변종 인수공통병원체 대응 연구센터 운영 –

원광대학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5년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이공계 분야에서 총 5개 과제가 선정된 가운데, 원광대는 의과대학 박현 교수 주도로 ‘신·변종 인수공통병원체 대응 연구센터’ 구축을 제안해 선정됐다.

사업은 원광대를 중심으로 ▲하버드대(미국) ▲몽골 국립수의연구소(SCVL) ▲라오스 국립가축보건연구소(NAHL) ▲베트남 국립위생역학연구소(NIHE) 등 5개국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체계로 운영되며, 2025년 7월부터 2030년까지 6년간 총 36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연구는 두 개 트랙으로 병행되며, 트랙 1은 하버드대와 협력을 통해 부작용이 적고 상온 보관이 가능한 신소재 기반 mRNA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하고, 트랙 2는 몽골, 라오스, 베트남 현지에서 병원체 및 임상 시료를 확보해 이를 바탕으로 진단 기술 개발과 백신 소재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진행한다.

한편, 원광대는 인수공통감염병연구센터에 참여하는 석·박사 및 교원 등 연구 인력을 매년 2개월 이상 하버드대에 파견해 공동 연구 및 기술 습득을 진행하며, 몽골, 라오스, 베트남 연구자들을 국내에 초청해 진단기술 교육 및 임상평가 기반의 기술 전수도 병행할 계획이다.

위로 스크롤

통합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