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유년시절
“어렸을 적부터 금속 공예와 관련된 것에 관 심이 많았어요. 화강암에 대못으로 글씨를 판 경험이 있을 정도로 조형예술에 관심이 많았죠” 라며 인터뷰를 시작한 한상대 동문(금속공예과 83학번). 그는 초·중·고 유년시절을 익산에 서 보낸 익산 토박이다.
“학창시절 예체능계열 분야에 흥미를 느끼곤 했어요. 그 중에서 태권도를 고등학교 때까지 계 속해체대를지망했을정도였으니까요. 그러나운 동 중 무릎을 크게 다쳐 그만두게 됐어요. 1년 동 안병석에누워있을정도로큰부상이었답니다”. 한 동문은 부상 후 운동을 못하게 되자 어렸을 적부터 관심이 많았던 예능계로 진로를 바꾸게 된다. 운동을 하던 학생이 입시 공부를 하려니 많이 힘들었다고. 그러나 부단히 노력한 덕에 1981년도에전문대공예과에입학하게된다.
지금의 나를 있게 한 사랑의 스승님
군산서예공업전문대학교 공예과에 입학하게 된 한 동문은 인생의 롤 모델인 윤여옥 교수님 을 만나게 된다. “윤 교수님을 만나게 된 것은 제 운명이라 생 각해요. 교수님이 현재의 저를 만들어 주신 거 나 다름없어요(하하).
그는 윤 교수의 지도하에 많이 배우고 성장하 게 된다. 전문대학을 다니던 중 윤 교수가 원광대 학교 교수로 역임하게 되면서 한 동문은 원광대 학교 금속공예과로 재입학하라는 권유를 받게 된다. 당시 편입이 안됐던 시절인 탓에 그는 전문 대를졸업하고다시입시시험을치른후에1983 년우리대학금속공예과에입학할수있었다. “원광대학교에 입학했을 때 제 나이가 24살 이었어요. 독립군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혼 자 조용히 공예에만 매달렸죠. 학점보다는 제 전공을 살리는 일에만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매달 릴 정도였다니까요”.
우리나라 최고의 명장이 되기까지
“서울로상경해많은고생을했어요. 밥을굶는 것은 다반사였죠. 그래도 장인이 된다는 생각 하 나로 지금까지 달려왔어요. 돌아보니 마음이 참 아파요, 그 힘든 시절을 어떻게 견뎌왔는지… 고 생한경험은말로도다표현못할것같습니다”.
그는 대학교 졸업 후 무일푼으로 서울로 상경 해 전통공예의 맥을 잇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한다. 대학교를 졸업한 사람이 기술을 배우러 왔다는 이유로 나이 어린 기술자들에게도 많은 괴롭힘을 받았다고. 소위‘왕따’라 불릴 정도였 다. 하지만 그는 놀림과 괴롭힘에 연연해하지 않고 꾸준히 기술을 연마하고 세공하는 작업에 만 몰두했다. 20여 년을 여러 차례 공모전에서 수상도 하 고 심사위원도 해 보는 등 전통공예 예술가의 길을 걷던 그에게 지난 2월 25일은 잊을 수 없 는 인생 최고의 날이 된다. 바로 우리나라 국새 의‘인뉴’(도장의 꼭지나 손잡이) 장인으로 선 정 된 것이다.
대학교수, 인간문화재 등 우리나 라 쟁쟁한 실력가들이 대거 공모한 5대 국새 디 자인 공모전에서, 이들을 제치고 무명인에 가까 웠던 그가 당선되자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동안 이론과 실기를 꾸준히 겸비해 온 결 과라고 생각해요. 처음 공모했을 당시만 해도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선정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어요. 4대 국새가 가짜로 밝혀지면 서 문제가 많아 이번에는 이름을 전부 가린 채 예술성과 작품성으로 심사를 했는데 아마 그 덕 에 장인이 되지 않았나 생각해요”.
최종 꿈과 후배들을 위한 한마디
“전통공예 뿌리를 찾아 발전시키기 위해 꾸 준히 노력할 예정이에요. 얼마 전 전북 무주 전 통공예테마파크로 작업실을 옮겨 작업을 하고 있어요. 내년쯤 국새를 주제로 한 개인전을 열 계획을 가지고 있답니다”.
그의 또 하나 목표는 대학 강단에서 장인정신 이 투철하고 끈기 있는 인재를 발굴 양성해서 전통공예발전에 기여하고 싶단다. 후배들을 위한 한마디를 묻자“후배들을 보 면 많이 안타까워요. 고등학교 때까지만 공부하 고 막상 대학에 와서는 놀아버리는 경우가 많거 든요. 지금 현실에 만족하고 안주하지 말고 지 금이 시작이라는 것을 깨닫고 부단히 꿈을 위해 노력해야 해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높은 곳을 바라보되 항상 낮은 곳부터 시작해야 성공 할수 있어요. 목표를 정했을 땐 밤낮가리지 않 고 철두철미하게 실행했으면 좋겠어요”라고 후 배들에게 조언한다. 또한“단기전엔 강하게, 장기전엔 끈기 있게 더 강해야 합니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의 인생 최종목표는 사단법인 국새 보존연 구원을설립해우리나라5대국새의주제인봉황 을 응용해 발전적이고 다양한 국새디자인을 기 획하여한국적인전통의맥을되살리는것이다. 한국에서 당대 최고의 장인 한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명예를 획득하게 된 한 동문. 우리나라 5대 국새 장인이 된 그에게서 전통공예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자신의 꿈을 위해 노력하는 그를 주목해 보자.
이혜민 기자 leehm9@wk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