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서 전문 지원기관 설립·데이터 기반 대응 등 진흥 방향 모색 –
– 지역혁신본부장 이동기 교수, 종합토론자로 참여 –

원광대학교와 익산시는 지난 22일 국회에서 한병도 국회의원,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재난안전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후 위기와 도시화로 인해 재난 유형이 복합·다양화됨에 따라 재난안전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고, 기술 및 제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가운데 특히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재난 유형별 특화 시험인증 플랫폼 구축 사업’과도 방향을 같이해 정부 정책에 발맞춘 논의의 장이 됐다.

첫 번째 발제는 한국행정연구원 재난안전연구실 박상진 박사가 맡아, ‘재난안전산업 진흥을 위한 전문 지원기관 설립 방향 : (가칭)한국재난안전산업진흥원’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재난안전산업 활성화와 기업 지원 등을 위한 한국재난안전산업진흥원 설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 박상진 박사는 △진흥계획 수립 △인증·표준화 △기업 지원 △판로 확대 등을 제안하고, 제도화를 위한 법령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행곤 센터장이 ‘재난 예측에서 대응까지 : 데이터 기반 도시침수 솔루션 및 고도화 전략’을 주제로 두 번째 발제에 나섰으며, △인공지능(AI) 기반 현안 해결 지원 △도심 침수 예측 시스템 구축 현황 △지역중심 재난 대응 전략 등 집중호우와 도시 침수에 대한 과학적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종합토론은 오금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이영춘 전북테크노파크 과학기술진흥단장, 김종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 이동기 원광대 지역혁신본부장, 오택림 전북특별자치도 도민안전실장, 김용두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산업과장이 참여해 재난안전산업 진흥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정책 실행 방안, 데이터 기반 재난 대응의 실질적 적용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위로 스크롤

통합 검색